무속 음악
황해도 무당의 춤과 음악 종류 및 특징 본문
황해도 무당의 춤과 음악 종류 및 특징
황해도 무당의 춤과 그 음악을 알아보겠습니다. 황해도 만신의 춤을 반주하는 음악은 다른 지방에 비해 그다지 많지 않은 편입니다.
연풍대와 도무
황해도 굿판에서 가장 많이 보는 춤은 '연풍대'와 '도무(跳舞)'입니다. 이는 만신이 신을 굿판에 청하는 청배무가를 부른 후에 접신(接神)을 하기 위해 추는 춤입니다. 만신은 처음에는 느리고 우아하게 어깨춤을 추기 시작합니다. 춤동작이 점차로 빨라지면서 제자리에서 도는데, 이를 '맴 돈다'고 하거나 '연풍 돈다'고 합니다. 제자리에서 계속 도는 것을 '맴 돈다'고 하는 말입니다.
연풍대의 의미
만신은 제자리에서 맴 돌면서 신이 만신의 몸에 내린다고 합니다. '연풍대(燕風臺)'는 사전이나 백과사전에서는 기생춤이나 검무, 승무, 농악무 등에서 도는 춤사위를 의미합니다. 연풍대가 청(淸)나라의 수도였던 '연경(燕京)풍'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또는 한자로 '제비 연(燕)'자인데, 제비가 도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도무와 막장단
만신이 도무를 할 때 치는 장단을 '막장단'이라고 합니다. '마구 치는 장단'이라는 의미입니다. 장구와 징이 요란스럽고 빠르게 장단을 칩니다. 이는 만신의 빙의(trance)를 돕는 음악입니다. 막장단은 일종의 '리듬적 소음(rhythmic noise)'를 통해서 만신이 빙의에 들게 합니다.
춤의 방향
만신이 연풍을 돌 때는 늘 시계 반대방향으로 도는 것이 원칙입니다. 가끔 시계방향으로 도는 만신의 춤을 볼 수 있는데, 만신들은 이는 '외로 돈다'고 해서 잘못 된 것으로 여깁니다. 우리 전통사회에서 원무(圓舞)를 출 때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도는 것이 원칙입니다. 강강술래에서도 그렇고 농악에서 각종 진(陣)놀이를 할 때도 그렇습니다. 물론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면 시계방향으로 풀어주기도 하지만, 기본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도는 것입니다. 한국의 종교와 관련된 의례에서 추는 춤은 시계반대방향으로 돕니다. 이는 시계반대방향이 신을 받는 바른 방향이라는 전통적인 믿음에 기인한 것입니다. 다만 탑돌이처럼 불교 계통의 의례(무)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돕니다. 불교가 본래 한국의 종교가 아니라 외래에서 들어온 종교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그 외 장단
이외에 신에게 잔을 올릴 때 치는 거상(擧床)장단이 있습니다. '거상'은 본래 궁중잔치에서 '음식상(床)을 올린다[擧]'는 의미로, 이 때 연주하는 음악을 거상악이라고 합니다. 황해도 굿에서는 장구가 느릿하게 만신의 몸동작에 따라 거상장단을 연주합니다. 이외에 만신이 우아하게 춤을 출 때 반주장단으로 삼현장단과 벅구장단 등이 있습니다. 삼현장단은 '삼현풍류'를 연주하듯이 우아하게 연주하는 장단입니다. 벅구장단은 농악판의 '벅구[法鼓]'춤(혹은 소고춤)을 추듯이 경쾌하게 연주하는 장단입니다.
황해도 만신의 춤
황해도 만신의 춤은 매우 격렬합니다. 이는 만신이 굿을 하면서 신이 몸에 내리는 빙의 현상과 관련된 것입니다. 이런 격렬한 춤은 황해도 만신이 전형적인 강신무당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러나 늘 격렬한 춤만 추는 게 아닙니다. 신을 놀리기 위한 우아하고 흥겨운 춤도 춥니다. 이 시간까지 황해도 굿의 음악과 무용을 알아봤습니다. 황해도 굿을 조금이라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무속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도 굿판에서 사용되는 무구 (0) | 2024.02.12 |
---|---|
전라도 지역의 무당 유형 (0) | 2024.02.09 |
황해도 굿 - 만세받이와 쑹거타령 (0) | 2024.02.09 |
황해도 굿의 무가 특징 (0) | 2024.02.09 |
황해도 굿의 구조 (0)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