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 음악
황해도 굿 - 만세받이와 쑹거타령 본문
노래하는 무가(shamanic song)와 민요
노래하는 무가(shamanic song)와 민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황해도 굿판의 무가
황해도 굿판에서 부르는 무가는 신을 굿판에 청하는 청배(請陪)무가, 신을 찬양하고 놀리는 오신(娛神)무가, 신을 굿판에서 보내는 송신(送神)무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청배무가의 종류와 특징
만세바지 무가에는 만세바지 긴만세바지 자진만세바지의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만세바지는 만세바지장단 혹은 산유만세장단이라고 부르는 보통 빠르기의 10박 장단에 얹어 부릅니다. 긴만세바지는 조금 느린 12/8박자 장단에 얹어 부릅니다. 자진만세바지는 조금 빠른 4/4박자 장단에 얹어 부릅니다. 이렇게 세 종류의 만세바지 무가는 노래의 빠르기에 따라 느린 긴만세바지, 보통 빠르기의 만세바지, 빠른 자진만세바지의 세 틀로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음악의 빠르기에 의해 세 틀을 이루는 형식을 '세틀[三機]형식'이라 합니다. 이는 고려가요에서부터 보이는 매우 오래된 음악형식입니다. 이런 세틀형식은 조선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전승됩니다. 전통적인 가곡의 원형이 되는 느린 만대엽(慢大葉), 보통 빠르기의 중대엽(中大葉), 빠른 삭대엽(數大葉)의 세틀형식입니다. 영산회상이라는 음악은 상영산(上靈山)-중영산(中靈山)-세영산(細靈山)의 세틀형식이 기본입니다. 판소리나 산조의 진양조-중모리-자진모리 등의 음악형식으로도 이어집니다. 이로 미루어 만세바지 무가는 매우 오래된 것을 알 수 있고, 고려시대 음악형식의 유산임을 알 수 있습니다. 황해도와 경기 북부가 고려시대의 도읍지였던 개성을 중심으로 한 고려 음악문화의 유산을 간직한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 만세바지 무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송신무가의 종류와 특징 황해도 굿에서 신을 굿판에서 보내는 송신무가로는 날만세바지를 부릅니다. 이는 '나간다'는 의미의 '날'을 붙인 것으로서 실제 음악은 자진만세바지와 같습니다. 이런 같은 곡인데 다른 제목을 갖는 동곡이명의 무가가 굿판에는 많습니다. 황해도 굿에서 오신무가로 부르는 노래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천수타령 명복타령 명타령 등의 타령류의 무가와 쑹거타령 배치기소리 등이 있습니다.
오신무가의 종류와 특징
타령류의 무가는 대개 무당이 굿판의 단골을 축원하기 위해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 무가를 부를 때 무당은 서리화라고 하는 지화(紙花)에 정화수를 묻혀서 단골들을 축원한다든가 떡이나 술 등의 제물을 단골에게 나눠주면서 단골의 수명장수와 복을 기원합니다. 이런 노래들은 대개 비슷한 선율의 노래가 많은데, 특히 쑹거타령이나 천수타령, 명복타령 등의 노래는 하나의 모곡(母曲)을 변형해서 만든 자곡(子曲)인 경우가 많습니다. 배치기소리는 본래 뱃사람들이 만선을 기원하거나 축하하면서 부르던 민요인데, 굿판에서도 단골의 명복을 기원하기 위해 부릅니다.
굿판에서 부르는 다양한 노래
청배무가, 오신무가, 송신무가로 단순화시켰지만, 실제 굿판에서 이런 노래 외에도 무당은 무수히 많은 노래를 부릅니다. 특히 굿판에 모신 신을 놀리기 위해서 부르는 노래가 굉장히 많습니다.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난봉가와 같은 서도민요부터 창부타령과 같은 경기민요를 비롯하여 청춘가와 같은 신민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노래를 부릅니다. 심지어는 '뽕짝(트롯트)'도 많이 애창됩니다.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노래에는 장르가 없는 것입니다.
요약 정리
황해도 무당은 많은 종류의 무가를 부릅니다. 신을 굿판에 청하는 청배무가는 가장 중요한 노래입니다. 이외에도 신을 굿판에서 보내는 송신무가와 신을 놀리는 오신무가를 부릅니다. 무가 외에도 배치기소리 등 다양한 민요와 유행가를 부르면서 굿판을 흥겹게 만듭니다.
'무속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도 지역의 무당 유형 (0) | 2024.02.09 |
---|---|
황해도 무당의 춤과 음악 종류 및 특징 (0) | 2024.02.09 |
황해도 굿의 무가 특징 (0) | 2024.02.09 |
황해도 굿의 구조 (0) | 2024.02.08 |
황해도 굿의 종류별 특징 (0) | 2024.02.08 |